[기업기상도] 제철 만나 맑은 기업 VS 역풍 맞아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요일 저녁 전격 발표된 증시 공매도 금지부터 광역철도 확대까지 총선이 다가오며 굵직한 정책 발표가 속출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속속 나온 기업들의 3분기 성적표에선 업종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는데요.<br /><br />한 주간 있었던 기업소식들, 기업기상도로 되짚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갑자기 나온 공매도 금지 조치로 주초 증시가 반짝했습니다.<br /><br />증시에 약이 될지, 독이 될지 놓고 지금 논쟁이 한창인데요.<br /><br />그러면 지난 한 주 맑고 흐린 기업을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먼저 종근당으로 시작합니다.<br /><br />희귀질환 치료제 기술 수출로 '잭팟'터뜨렸습니다.<br /><br />신약 후보물질 'CKD-510'이 주인공입니다.<br /><br />심혈관질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고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희소병 샤르코마리투스 치료제로는 미국,유럽에서 임상 1상을 마쳤는데요.<br /><br />다국적 제약사 노바티스가 먼저 1,061억원 내고 잘 되면 이 회사 매출보다 많은 1조7,000억원까지 내고 사겠답니다.<br /><br />종근당 사상 최대 기술수출입니다.<br /><br />제약,화학산업은 선진국 추격이 가장 힘든 업종입니다.<br /><br />다른 제약사도 성과 있었습니다만 이런 소식이 더 자주 나오면 좋겠습니다.<br /><br />다음은 하이트진로,롯데칠성,무학소주,금복주 등 소주회사들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주세 경감 방안을 검토합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국산 소주,위스키 과세에 기준판매비율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기준판매비율이란 술 출고가격에 이 비율을 곱한 액수를 과세표준에서 빼주는 일종의 할인율인데, 40%까지 고려합니다.<br /><br />하이트진로가 이번 주 소주값을 큰 폭으로 올렸지만 이 제도가 생기면 내릴 여지가 있죠.<br /><br />수입 주류와 차별 해소가 명분이나 물가관리책입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소주회사나 식당들이 술값을 안 내리고 내린 세금으로 자기 지갑을 채울 가능성이죠.<br /><br />추경호 부총리, 김창기 국세청장 두 사람의 숙제입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먼저 키움증권입니다.<br /><br />영풍제지 주가 조작 사태 후 미수금을 찾으러 반대매매에 나섰지만 남은 부담이 4천억원대입니다.<br /><br />주가 조작 적발 후 주가가 급락해 외상으로 영풍제지 주식을 산 투자자들에게 받을 돈이 무려 4,943억원, 거래 재개 뒤 반대매매에 나섰지만 610억원밖에 못건져 4,333억원이 남았습니다.<br /><br />돈을 갚아야할 투자자들에게 독촉도 하고 법적 조치도 하겠지만 미수금 계좌 다수가 주가조작세력 계좌로 의심돼 상당한 손실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남은 미수금 해결에 상반기 순익을 다 토해내야 한다는 관측도 있죠.<br /><br />위험관리에 미흡했던 경영진 책임론이 불거지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다음도 먹구름 낀 증권사입니다.<br /><br />메리츠증권에 검찰의 강제수사가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메리츠증권이 재작년 이화전기가 발행한 400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 BW 투자를 했었는데요.<br /><br />이화 김영준 회장이 지난 5월 횡령·배임 혐의로 구속되며 주식 매매거래가 정지됐죠.<br /><br />그런데 메리츠증권이 이 BW를 주식으로 바꿔뒀다 거래정지 직전 전량 팔았습니다.<br /><br />이 일로 검찰이 메리츠증권을 압수수색했습니다.<br /><br />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매매를 의심한 겁니다.<br /><br />이 회사 투자은행부문 임직원들도 의심받습니다.<br /><br />전환사채로 기업에 자금을 조달해주며 알게 된 정보로 자신들도 투자한 정황이 나와서죠.<br /><br />사실이면 횡령에 버금가는 불법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엔 한국전력입니다.<br /><br />요금은 올렸습니다만 이번에도 제한적이었습니다.<br /><br />9일부터 ㎾h당 전기요금이 평균 10.6원 올랐죠.<br /><br />전부가 아니라 산업용 중에서도 대용량, 즉 대기업만입니다.<br /><br />전체적으로 5.2~5.3원 정도 올린 효과라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구조적 적자 해소 위해선 작년말 기준 51.6원을 올려야하는데 그간 인상분을 감안해도 절반 정도밖에 못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콩보다 두부가 싼 기형적 구조는 그대로인 거죠.<br /><br />한전이 추가 자구안을 냈지만 시간이 걸리거나 효과가 의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난방수요가 많은 겨울철에 총선도 다가와 예상은 했습니다만 재작년부터 쌓인 손실만 47조원입니다.<br /><br />지금 넘어가도 추가 인상 외 해법은 없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무신사,한섬EQL,W컨셉 등 대표 패션쇼핑몰들입니다.<br /><br />가짜 캐시미어 제품을 팔았다가 체면을 구겼습니다.<br /><br />한 납품업체에서 최근 몇년간 고급 모직의 대표인 캐시미어로 된 머플러를 이들 쇼핑몰에 공급해 팔았습니다.<br /><br />싼 가격에 반응이 좋았고 무신사에서 지난 1년간만 8만 장 넘게 팔렸다죠.<br /><br />그런데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 고객이 시험기관에 의뢰해 검사해보니 캐시미어는 커녕 일반모직도 없는 합성섬유 제품이었습니다.<br /><br />판매처들은 환불에 들어갔는데요.<br /><br />생산,납품사도 문제지만 대표 쇼핑몰들의 제품 검수가 이리 허술하면 소비자들이 믿고 살까요?<br /><br />우윳값 상승폭이 금융위기후 최대다.<br /><br />두 자릿수 옷값 상승에 옷 구매가 줄었다, 물가로 여기저기 아우성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11년 만에 품목담당 부처를 부활해 물가를 억제한다는데요.<br /><br />경제엔 모두 얻는 것이 없죠.<br /><br />물가를 잡자면 다른 것은 포기해야 하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PD 김효섭<br />AD 김희정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